728x90 반응형 비급여2 비급여 진료 전 설명 의무 제도 실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제도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의료기관에서 제출한 가격 등의 정보를 확인하여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관련근거 : 「의료법」 제45조의2 왜 하는 건가요? 해당 의료기관의 적정한 비급여 제공과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의 합리적인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비급여 진료비용 고지제도란? '의료기관 개설자'가 비급여 진료비용을 환자나 환자 보호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고지하는 제도입니다. * 관련근거 : 「의료법」 제45조, 「의료법 시행규칙」 제42조의2 왜 하는 건가요? 비급여 진료 정보제공을 통해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의료기관의 합리적인 진료제공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비급여 사전설명제도란? 의료기관에서 비급여 진료를 받을 경우, 사전에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2023. 3. 24. 급여, 비급여, 전액본인부담 비용 청구에 대해 알아보자 급여, 비급여, 전액본인부담 비용 청구는 의료 서비스 및 치료에 대한 비용 구조에 대한 개념입니다. 이들은 한국의 의료 체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급여 (보험급여): 보험급여는 국민건강보험(National Health Insurance)에 가입한 환자가 받을 수 있는 의료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건강보험공단이 의료 기관에 지급하는 비용 중 일부를 지원하며, 환자는 진료비의 일부만 부담하게 됩니다. 급여 항목에 포함되는 진료는 국가에서 정한 진료비를 적용받게 됩니다. 비급여 (비보험급여): 비급여는 국민건강보험의 보장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의료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환자가 전액 본인 부담으로 진료비를 지불해야 합니다. 비급여 항목에는 특정 질병에.. 2023. 3. 2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